인증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개요
법(중대재해기업처벌법, 산업안전보건법) 규정 준수
임직원의 안전보건에 대한 동기부여와 인식도 향상
산업재해에 대한 각종 소송 및 법규, 규제에 대한 대응 가능
중대사고 위험성을 단기간 내에 현저히 감소
지속적인 안전보건 개선을 위한 측정 및 모니터링
기업인의 안전보건 의무사항 이행
글로벌 상거래시 적격성 요구
정부정책 부응
국제간 무역에서 신뢰감 확보로 시장 진출 확대
작업장 내의 위험성을 관리, 예방하여 재해사고율 감소
신뢰성 있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으로 보험료 절감
근로자의 보건안전 위험성의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규격에서 요구하는 기준에 적합하게 함으로써 안전부문의 무역장벽을 제거하여 해외시장 진출 용이
사업주 및 근로자의 안전보건 관리 의식이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하여 기업의 자율 안전보건관리 체제가 조속히 정착
생산제품 및 작업환경에 대해 국제인증을 받음으로써 안전보건에대한 근로자의 편향된 불만을 해소하여 노사관계 안정에 기여
안전보건 요구사항의 구조
4.1 조직과 조직 상황에 대한 이해
4.2 이해관계자의 니즈(needs)와 기대의 이해
4.3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적용범위 결정
4.4 안전보건경영시스템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5.2 안전보건 방침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5.4 근로자 협의 및 참여
6.1 리스크 및 기회를 다루는 조치
6.2 안전보건 목표와 목표 달성 기획
7.1 자원(resource)
7.2 역량(competentce)
7.3 인식
7.4 의사소통
7.5 문서화된 정보
8.1 운용 기획 및 관리
8.2 비상시 대비 및 대응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성과 평가
9.2 내부심사
9.3 경영검토
10.1 일반사항
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10.3 지속적 개선
A.1 일반사항
A.2 인용표준
조직상황
본 경영시스템은 IAS 인정심사 범위에서 제외됨에 따라, IAS 인정심사 이후에 인정된 인증심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